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다이소가 매장기반 배송을 한다고? 샵다이소
    유통/유통잡설 2021. 1. 28. 22:21

    다이소가 매장 기반 배송을 한다고 한다.

    작년 말 올해 초 시점에 아주 작게 기사화 됐었는데 까맣게 잊고 있다가

    불현듯 생각나서 조금 찾아봤다.

     

    다이소의 매장 기반 배송의 네이밍은 샵다이소라고 한다. 기존의 다이소몰과는 다른 서비스이다.

    다이소몰 같은 경우 다이소 상품 뿐만 아니라 다른 셀러들의 상품도 함께 판매하며

    택배로 배송을 하는데 반해서

    샵다이소의 경우는 매장을 기반으로 해서 다이소 상품만 배송 한다고 한다.

    서비스 지역도 수도권은 대부분 하고 배송하고 있는 듯 한데 다이소 배송차량이 돌아다니는 모습은 보질 못했다.

    아직 차량이 적은건지 홍보가 없는건지 정확하진 않다.

     

     

    다이소답게 다른 플랫폼과는 다르게 가격대별 모아보기라는 구좌가 눈에 띈다.

    아무래도 균일가로 판매 한다는 특징 때문인 듯 하다.

     

    샵다이소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른 곳들과 비슷하게 배송과 픽업이다.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당일배송/픽업은 당연하게도 주문마감시간을 만들어뒀다

    주문마감시간이 있어야 피킹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약배송은 최대 D+3 까지 지정이 가능하다.

     

    배송비는 1,000원으로 되어있는데 찾아보니 기본 2,000원인데 현재 이벤트 중인듯

    배송비 2,000원...

    싸다/비싸다를 논하기가 애매한 금액이다.

    오프라인 기반 배송을 진행하는 대형마트들이 주로 40,000원 무료배송 허들에 3,000원의 배송비를 받고 있다.

    그에 비교하면 저렴한 금액이지만 샵다이소에는 무료배송 허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이소 상품을 팔면서 배송 서비스까지 진행을 하는 사업을 하는 걸 보면

    다이소 상품이 생각보다 마진이 높나? 라는 생각이 든다.

    온라인 유통에 몸 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배송비와 인건비가 영업이익이냐 영업손실이냐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라는 걸 알 것이다.

    이러한 비용을 상쇄하려면 당연히 매출이 높아야 하는데 다이소 상품의 단가상 객단가가 얼마나 될지

    정확한 예상은 되질 않지만 아마도 그렇게 높지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진행하고 확장한다는 건 마진이 높을 것이다로 귀결된다.

     

    워낙에 많은 온라인 유통사들이 존재하고 각자 자신들만의 장점을 내세우는데

    다이소의 경우 다이소 자체 상품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물류 관점에서 자신들만의 특장점을 만들기 위해서는 투자가 이루어져야겠지만 그것은 다이소의 선택이다.

    과연 고객들에게 자신을 알리기 위해 얼마나 투자를 할지 의문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